분류 전체보기50 금성에 대하여 1. 개요 金星 / Venus 금성은 태양계의 두번째 행성이다.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천체 중에서 3번째로 밝다. 첫 번째는 태양, 두 번째는 달이므로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는 '별' 중에서는 가장 밝은 천체인 셈이다. 2. 물리적 성질 2-1. 밝기 가장 밝을 때의 금성은 겉보기 등급 -4.9로,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천체 중에서 3번째로 밝으며[5] A형 주계열성인 시리우스보다 25배 이상 밝다.[6] 색깔도 밝은 노란색이라 매우 화려하기 때문에 비너스나 루시퍼처럼 아름다운 신들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금성의 태양빛 반사율이 약 70%로, 태양계의 모든 천체 중에서 가장 높은 것도 한 몫한다. 2-2. 자전과 공전 자전 주기는 243일이며, 공전 주기는 225일이다. 특이하게도 자전이 공전보다 .. 2021. 5. 13. 해왕성에 대하여 1. 개요 海王星 / Neptune 해왕성은 명왕성이 행성 분류에서 제외된 이후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으로 인정되고 있는 여덟 번째 행성이다. 2. 상세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바다의 신 포세이돈[7]에서 유래했다. 해왕성도 포세이돈을 중국[8]에서 번역한 걸 한자문화권에서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것이다.[9] 천왕성과 닮은 점이 많은 행성인데, 먼저 반지름이 천왕성보다 지구 지름의 1/5만큼 작은 정도로 거의 비슷한 크기이며, 대기에 포함된 메테인에 의해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도 비슷하다. 목성의 대적반처럼 표면에 대흑점이 있는데, 지구 지름 정도의 크기로 상당히 크다. 짙은 푸른색 빛이 인상적이라 그런지, 뚜렷한 고리가 있는 토성과 더불어 인기가 꽤 있는 행성이다. 발견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2021. 5. 13. 지구에 대하여 1. 개요 우리 은하의 오리온자리 나선팔에 위치한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 중 하나로, 태양의 세 번째 궤도를 돌고 있다.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알려진 바로는, 생명체와 지성체가 세운 문명이 존재하는 것이 입증된 유일한 천체로 인류가 살아 숨쉬고 있는 단 하나뿐인 행성이다. 오늘날 쓰이는 '지구'라는 단어는 근대 일본에서 서양의 서적을 번역하면서 생긴 일본식 한자어이며, 전통적인 한자문화권에서는 곤여(坤輿) 혹은 대괴(大塊)라고 불렀으나, 이는 천체로서의 지구를 나타내기보다는 '세계' 그 자체를 의미하는 바가 컸다. 이 밖에도 중국의 사상가 량치차오(梁啓超)는 혼원구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2.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이유 생명체가 자생하는 이유는 액체 상태의 물[11]과 대기층 등이 존재하기 때문이.. 2021. 5. 13. 화성에 대하여. 1. 개요 水星 / Mercury 태양계의 행성 중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천체이다. 태양계 모형만 보면 감이 잘 오지 않겠지만, 가장 가깝다는 태양과 수성 사이의 거리는 태양 지름의 약 41배나 된다. 2. 물리적 특성 2-1. 구성 행성을 이루는 구성 성분으로는 철이 64.13%로 가장 많으며 니켈도 3.66%로 지구의 2배나 된다. 모든 원소들이 다 존재하지만 수소는 0.4ppm으로 지구의 1% 수준으로 매우 적고 산소도 14.44%로 지구의 2/3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5] 특이하게도 행성의 크기에 비해 핵의 지름이 수성 지름의 75%인 3,600 km나 되고, 맨틀은 600 km, 지각은 약 100~200 km의 두께를 가진다. 2-2. 대기 대기 중에는 매우 소량의 원자들만 돌아다니는 것으.. 2021. 5. 13.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