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0 수성에 대하여 1. 개요 水星 / Mercury 태양계의 행성 중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천체이다. 태양계 모형만 보면 감이 잘 오지 않겠지만, 가장 가깝다는 태양과 수성 사이의 거리는 태양 지름의 약 41배나 된다. 2. 물리적 특성 2-1. 구성 행성을 이루는 구성 성분으로는 철이 64.13%로 가장 많으며 니켈도 3.66%로 지구의 2배나 된다. 모든 원소들이 다 존재하지만 수소는 0.4ppm으로 지구의 1% 수준으로 매우 적고 산소도 14.44%로 지구의 2/3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5] 특이하게도 행성의 크기에 비해 핵의 지름이 수성 지름의 75%인 3,600 km나 되고, 맨틀은 600 km, 지각은 약 100~200 km의 두께를 가진다. 2-2. 대기 대기 중에는 매우 소량의 원자들만 돌아다니는 것으.. 2021. 5. 13. 천문학과 1. 개요 대학교의 학과 중의 하나로 천문학을 교육하고 연구하는 학과. 천문/우주과학 분야는 국가의 기초과학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척도다. 하지만 천문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학교는 매우 드물고[1][2], 학과 정원이 대체로 매우 적은 편이어서, 전공자의 공급 자체가 극히 적다.[3] 이 덕분에 전공 관련 분야 진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국내에서도 세계 수준의 성과를 가진 교수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는데, 이것도 천문학을 하는 사람들 자체가 전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기 때문이다.[4] 어느 정도냐면 다른 학과는 서울권에서도 보기가 아주 힘든 교수진을 지방거점국립대학교[5]에서 만날 수 있는 정도. 2. 교육과정 2-1. 학부 과정 일반적인 천문학과의 학부 교과과정을 테크.. 2021. 5. 13. 별자리 1. 개요 별자리 또는 성좌(星座)는 일반적으로 밤하늘의 별들에 사람들이 붙여준 모양과 이름을 뜻한다. 2. 상세 전통적으로 전해내려오는 별자리도 많고, 누구나 새로운 별자리를 자기 마음대로 그려 볼 수도 있다. 서양에서는 황도 12궁을 필두로 고대 아라비아, 이집트, 그리스 등의 지방에서 전래하는 것들이 많다. 동양의 경우 고대 중국의 3원 28수 체계가 있다. 그러나 현대 천문학에서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르다. 북두칠성 등의 전통적인 별자리들은 성군(星群, asterism)으로 분류하며, "별자리"라고 함은 상상의 선으로 이어놓은 별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그 별들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학계에서 합의된 별자리는 88개가 있는데, 하늘(천구)을 88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놓고 그 조각이 차지하.. 2021. 5. 13. 천문학 망원경 천체 망원경 1. 천체관측을 위한 기본 장비 천체 사진 촬영용 망원경의 경우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사진 촬영은 포기하고 관측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4] 안시 관측용 망원경도 꽤나 돈을 많이 쓰는지라 성인들이 많이 즐기는 취미이다. 따라서 개인이 망원경을 살 때는 시간은 차치하고 예산 크리로 인해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정말로 천문 분야를 좋아하거나 이쪽을 파고드는 기질이 있다면, 학교 동아리에 가입하는 것도 한 방법. 단 장비 자체가 보급형도 다소 고가인 만큼 많은 것을 바라지는 말자. 또한 천체관측 항목에도 있지만 망원경으로 단순히 별을 보는 것은 맨눈으로 별을 보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망원경을 산 사람들이 보고 실망하는 것 중 하나. 망원경으로 관측을 할 때는 이중성 등의 다중성이나 성운,.. 2021. 5. 13. 이전 1 2 3 4 5 ··· 13 다음